SVN으로 로컬소스 > 서버소스 통합하기

 

프로젝트 우클릭 > team > commit 하면 아래 사진처럼 뜬다. (로컬 소스를 서버소스로 저장하기)

지금은 수정된 리소스파일이 없어서 목록이 거의 없다.

 

comment : 설명 주석

clearall : 체크된 파일들을 전체 해제한 후 올릴 파일들을 선택한다.

주의사항

.classpath , .settings, .project, */target/** 등 설정파일과 관련된 파일은

소스 통합할 때 주의를 기울려서 올려야 한다.

 

여기까지 하면 서버소스에 로컬소스를 추가할 수 있다.


협업을 할 때 동기화는 아주 중요하다.

프로젝트 우클릭  > TEAM > UPDATE를 하면 서버소스를 로컬소스로 동기화 시킬 수 있다.  

 

충돌나는 파일들이 생길 때는 synchronize with repository 기능을 사용한다.

synchronize with repository을 하여 저장소(서버)에 있는 소스와 싱크를 맞춘다

gitmerge의 개념과 비슷하다.

 

synchronize with repository를 하면  해당 아이콘들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변환 파일들을 우클릭 하면 나오는 기능들이다.

 

Commit : 서버로 나의 로컬 소스를 올리는 작업

git와 다른 점

git같은 경우, 팀원들이 각각의 branch를 따로 만들어 로컬 소스를 서버에서 관리할 수 있었지만 SVN은 마스터 하나만 있다

 

Update : 서버의 소스를 나의 로컬로 옮기는 작업(동기화 작업)

 

Override and Commit... : 서버를 무시하고 로컬에 있는 파일을 서버에 덮어 쓰는 작업 

Override and Update... :  로컬을 무시하고 서버에 있는 파일을 내 로컬로 덮어 쓰는 작업

이 두가지 오버라이드 명령은 주의해서 써야한다.

참고사이트 : https://devcheon.tistory.com/2

'형상관리 > sv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이용하여 이클립스 프로젝트 연동(Checkout)  (0) 2023.05.02
SVN이란?  (0) 2023.04.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