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스트 OS에 환경 구축할 때 /usr/local에 tomcat을 깔아야 한다.
파일질라를 이용해 공유폴더의 /usr/local 폴더에 압축 파일들을 옮긴다.
또한 톰켓을 설치하기 전에 JRE를 설치해야한다.(JDK를 설치했다면 상관없음)
Apache Tomcat® - Welcome!
The Apache Tomcat® software is an open source implementation of the Jakarta Servlet, Jakarta Server Pages, Jakarta Expression Language, Jakarta WebSocket, Jakarta Annotations and Jakarta Authentication specifications. These specifications are part of the
tomcat.apache.org
👉 압축파일 이동
위 링크에서 다운받은 파일을 /usr/local 디렉터리 밑으로 이동시킨다.
압축파일 다운받는 방법 참고 사이트 : https://mine-it-record.tistory.com/108
👉 압축 풀기
원격 프로그램 putty를 이용하여 tomcat 8버전 압축 해제
tar -zxvf apache-tomcat-8.0.53.tar.gz
👉 심볼릭 링크
실제 파일명인 apache-tomcat-8.0.53 파일명을 tomcat8로 심볼릭 링크 해준다.
긴 파일명을 타이핑 하는 불편함을 덜어준다.
ln -s apache-tomcat-8.0.53/ tomcat8
👉 환경 설정
✒️ cd /tomcat8/bin 이동 후 vi catalina.sh
디렉토리 변경 후 해당 sh파일을 설정해준다.
-Xms1024m플래그는 JVM(Java Virtual Machine)의 초기 힙 크기를 1024MB(1기가바이트)로 설정하여 JVM이 시작될 때 할당되는 메모리 양을 지정
JAVA_OPTS="$JAVA_OPTS -Xms1024m -Xmx1024m" //주석밑에 설정
✒️ local/tomcat8/conf 이동 후 vi server.xml
maxPostSize="-1" URIEncoding="UTF-8" maxThreads="500" //설정 추가
vi에서 /문자열 : 슬래시 뒤에 문자열을 검색한다.
/8080을 찾은 후 n키를 누르면 다음 8080검색 설정할 자리에 설정 문구를 삽입한다.
✒️ tomcat8/conf 디렉터리 밑에 vi tomcat-users.xml
아래 내용을 기입해준다. username과 password 는 알맞게 기입한다.
<role rolename="manager"/>
<role rolename="manager-script"/>
<role rolename="manager-gui"/>
<role rolename="manager-status"/>
<role rolename="manager-jmx"/>
<user username="사용자명" password="패스워드" roles="standard,manager,manager-script,manager-gui,manager-status,manager-jmx"/>
👉 방화벽 설정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80/tcp
firewall-cmd --reload
firewall-cmd --list-ports
👉 포트포워딩
👉 잘 실행되나 확인하기
✒️ /tomcat /bin 에서 ./startup.sh 톰켓 실행
http://localhost:8080 접속해서 톰켓 사이트가 연결되면 확인 완료
http://localhost:8080/manager/html 접속한후 설정한 아이디, 패스워드 입력 후
톰켓 매니저 사이트 잘 접속되면 확인 완료
👉 프로젝트 적용
❗ 만약 이클립스에 demo 프로젝트가 있다는 전제하에 설명을 하겠다.
✒️ 이클립스를 사용하여 maven build 하기
프로젝트 우클릭 > run as > run configration
Maven 빌드에서 goals는 빌드할 작업목록을 의미한다.
aplly 하고 run 하면 빌드 설정이 완료된다.
이렇게 되면 demo 프로젝트는 Maven 빌드가 되면서 파일질라에서 확인해본다.
이클립스에 연결한 작업폴더 D:\workspace\demo 밑에 target 디렉토리에 demo.war파일이 있는것을 볼 수 있다.
war파일을 centOS 서버 webapps 디렉토리 밑에 war파일을 옮긴다.
✒️ centOS 서버에서 톰켓 실행
로컬 이클립스에서 톰캣을 꺼도 게스트os에서 톰켓을 실행하여 톰켓서버를 구동할수있다.
톰켓을 ./startup을 다시 실행한 후 http://localhost:8080/demo 접속을 확인한다.
'운영체제(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7 Jenkins 설치 (0) | 2023.05.08 |
---|---|
centOS7 JDK 설치 (0) | 2023.05.08 |
centOS7 mariaDB 설치하기 (0) | 2023.05.08 |
centOS7 docker 설치 및 실행하기 (0) | 2023.05.08 |
centOS7 사용자 계정 추가하기 (0) | 2023.05.08 |